최초작성 : 2014/02/03 개정 : 2014/02/18 작성자 : 최광민 (helperchoi@gmail.com) 가. Linux 시스템의 Cache 메모리와 Swap 생성 메커니즘 1. Linux System 은 기본적으로 효율적인 I/O 처리를 위하여 여유 메모리에 대하여 Kernel 에서 Cache memory를 확보하려 노력하며, Cache 메모리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음 1) Buffer Cache 와 Swap Cache OS 이하 생성된 Process는 들어온 요청에 대한 처리를 위해 Page cache set을 생성함. 이를 Process Working Set 이라 부르며 Working set은 Physical Memory 영역에 상주할때 가장 빠른 처리 속도를 확보하게 된다. Wo..
Ethernet Card 교체후 OS 부팅시 기존 /etc/sysconfig/network-scripts 이하에 ifcfg 상 정의 되어있는 HWADDR 가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이 ifconfig 시 Device name 이 상이하게 표기 될 경우가 있다. [root@Server02 network-scripts]# ifconfig -a | more __tmp134357958 Link encap:Ethernet HWaddr 80:C1:6E:AA:13:80 BROADCAST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
Redhat Enterprise Linux 는 상용 리눅스로 유지보수에 대한 Subscription을 구매후 Redhat RHN을 통해 Subscription 활성화 후 아래와 같이 OS상에서 rhn_register 과정을 통해 yum 유지보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root@REL-Server01 ~]# [root@REL-Server01 ~]# [root@REL-Server01 ~]# rhn_register [root@REL-Server01 ~]# [root@REL-Server01 ~]# 하지만 RHN ID와 Subscription 에 이상이 없음에도 아래와 같은 에러와 함께 yum service를 제공 받을 수 없을 때가 있다. [root@REL-Server01 ~]# [root@REL-Serve..
1. Linux CPU 가상 core를 (Intel Hyperthread) 포함한 전체 Core 수 확인 [root@marine1 ~]# [root@marine1 ~]# cat /proc/cpuinfo | grep process | wc -l 128 [root@marine1 ~]# dmidecode -t processor | grep "Thread Count"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root@marine1 ~]# 2. CPU 이하 실제 물리적인 Core 수 확인 [root@marine1..
Linux OS 제공하는 각 사용자 계정의 명령어 사용기록을 확인하는 history 명령의 기본 format은 명령어를 실행한 시간이 남지 않게 되어있다. 이를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root@s-node01 ~]# [root@s-node01 ~]# touch /etc/profile.d/set_history.sh [root@s-node01 ~]# echo "export HISTTIMEFORMAT='%Y/%m/%d %H:%M:%S '" >> /etc/profile.d/set_history.sh [root@s-node01 ~]# echo "export HISTSIZE='100000'" >> /etc/profile.d/set_history.sh [root@s-node01 ~]# cat /et..
CentOS 5.4 버전 이상에는 아래와 같이 기본적으로 kernel module에 ext4를 지원하도록 lib가 포함되어 있다. [root@s-node01 dev]# [root@s-node01 dev]# modprobe -l | grep ext4 /lib/modules/2.6.18-308.el5/kernel/fs/ext4/ext4.ko [root@s-node01 dev]# 하지만 ext4 파일시스템을 관리하고 생성하는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yum repository를 통해 해당 패키지를 찾아 설치 할 수 있다. [root@s-node01 dev]# [root@s-node01 dev]# yum provides /sbin/e4fsck Loaded plugins: f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