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blog.helperchoi.com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blog.helperchoi.com

검색하기 폼
  • 블로그 전체보기 (179)
    • System Story (144)
      • CentOS 5,6 (104)
      • CentOS 7 (14)
      • Ubuntu (4)
      • Suse Linux (0)
      • Windows (5)
      • Database (7)
      • Ansible (0)
      • Python3 (3)
      • Perl (0)
      • Go Language (0)
      • Project (1)
      • ETC (1)
      • Youtube - Tip4Linux (5)
    • Cloud Story (10)
      • Cloud Stack (6)
      • Open Stack (1)
      • Vmware vSphere (0)
      • KVM (0)
      • Xen Server (1)
      • Type2 Hypervisor (2)
    • Life Story (25)
      • 소소한 이야기 (8)
      • 담는 법 (3)
      • Review (8)
      • 꽁치네집 (5)
      • 6x6 (1)
  • 방명록

Cloud Story/Cloud Stack (6)
CloudStack 에서 원하는 Cluster Node에 VM 생성하기

기본적으로 Cloud Stack UI상에서 VM을 생성할 경우, Zone을 제외한 POD, Cluster, Cluster이하 상세 Hypervisor Node를 선택 할 수 없기 때문에 Resource 여유가 있는 Cluster에 랜덤하게 VM을 생성하게 됨. 관리 목적상 특정 C-NODE(Cluster Node) 에 VM을 생성해야 할 경우는 Cloud Stack 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아래와 같이 생성 가능 curl -s 'http://192.168.0.10:8080/client/api?command=deployVirtualMachine&domainid=2&account=test01_account&zoneId=3&hostid=50&templateId=695&hypervisor=XenServer&..

Cloud Story/Cloud Stack 2013. 11. 27. 11:40
Cloud Stack UI상 VM 생성

CloudStack UI상 VM 생성 1) CloudStack UI 접속(해당 account) -> Instances -> Add Instance -> 생성할 Zone 선택 -> Template Check -> My templates -> TESTDB1_Template -> VM Resource 할당을 위한 Service Offering 선택 (12Core / 32G) -> 추가 Disk volume 선택(No Thanks) -> VM에 할당할 Isolated Network 및 Shared Network 선택 -> VM Name 입력 -> Launch VM ex) Name (Optional) : TestDB01

Cloud Story/Cloud Stack 2013. 11. 27. 10:09
CloudStack UI 상 VM template 생성

CloudStack 에서는 현재 운용중인 VM의 복제나 관리를 위해 VM Template을 생성 할 수 있으며 UI 상에서 다음과 같이 Template을 생성 가능함. 1) CloudStack UI 접속 -> Instances -> 대상VM -> Quickview -> Stop Instances 2) Instances -> 대상VM -> View Volumes -> Root Volume -> Create Template Name : TESTDB_Template01 Description : TESTDB_Template01 OS Type : CentOS 5.4 (64-bit) Public : Check

Cloud Story/Cloud Stack 2013. 11. 27. 10:00
CloudStack VM 삭제

Cloud Stack 이하 Global Settings 에는 expunge.delay 항목이 정의 되어 있으며 설명은 아래와 같다. Determines how long (in seconds) to wait before actually expunging destroyed vm. The default value = the default value of expunge.interval 이 설정에 의해 Cloud Stack 상에서 VM을 삭제시 해당 시간만큼 대기 시간을 갖게 되며 관리목적상 바로 삭제가 필요할 경우는 DB에서 다음과 같이 수행하여 VM 삭제 상태값을 변경 가능함. 1) 해당 VM이 속한 Account 를 조회 SELECT * FROM account WHERE account_name="testid..

Cloud Story/Cloud Stack 2013. 11. 27. 09:52
Cloud Stack DB 조회

※ Cloud Stack MySQL DB에서 간단히 조회 #SELECT vm_instance.id, vm_instance.name, user_vm.id, user_vm.display_name FROM vm_instance INNER JOIN user_vm WHERE vm_instance.id=user_vm.id AND user_vm.display_name="TB_LCMS" ;## UPDATE volumes set template_id='566' WHERE account_id=70 AND name='Windows_2008_32_DATA-1403';SELECT * FROM account where account_name="othuslp"; ### CS 계정의 Accound ID 알아 조회select * fr..

Cloud Story/Cloud Stack 2013. 11. 10. 23:38
SCP를 통한 Cloud Stack VR 로그 수집

※ Cloud Stack에 의해 hypervisor에 생성된 VR의 경우 SSH 를 Default Port로 Listen 하지 않고 3922로 Listen 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C-node 상에서 scp 명령을 통해 VR의 로그를 수집 가능 vr_ip=192.254.3.223 scp -i /root/.ssh/id_rsa.cloud -P 3922 $vr_ip:/root/r-969-VM_mem.log /root/

Cloud Story/Cloud Stack 2013. 11. 10. 20:51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반응형
공지사항
  • ::::::: 이 블로그는? :::::::
최근에 올라온 글
  • Shell - 변수 타입 확인하기
  • Linux OS에서 CPU Architecture⋯
  • PS4 Remote Play 테스트 영상
  • 파일을 지울 수 없어?! Argument list⋯
최근에 달린 댓글
  • 안녕하세요 혹시 해당 내용처럼 vi /etc/modpr⋯
  • 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덕분에 유용하게 잘썼습니다.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분좋네요!
Total
298,037
Today
28
Yesterday
114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