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OS를 사용하다 보면 명령어 등의 사용법 확인을 위해 Man Page를 참고하게 된다. 아무래도 필자와 같이 콩글리시 수준의 영어 독해력을 갖는 사용자라면, 영문기반의 Man Page가 불편하기 마련이다. 만약 Linux OS를 설치시 System Locale을 한글로 선택하였거나 이후 추가로 한글로 변경하였다면, 한글 Man Page가 제공되는 Package에 한하여 한글 man page를 제공하게 된다. 그럼 한글 Man Page는 어디에 있을까? 아래와 같이 한글 man page 위치는 /usr/share/man/ko 디렉토리 이하에 설치되며, 다음과 같은 명령 수행을 통해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있는 한글 Man Page 수와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다. [root@centos5 ~]# ..
Oracle DB, MySQL, PostgreSQL 등 DBMS를 설치, 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Aplication을 기동/정지/유지 보수하기 위한 전용계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해당 OS 계정은 DBMS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SQL Plus나 pSQL등의 권한이 있기 때문에 보안상 계정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가 있다. 만약 DBMS 운용계정등 특정 용도로 만들어진 OS 계정에 대한 SSH 원격 로그인 차단과 함께,특정 계정에서만 해당 계정을 Switching 할 수 있도록 설정이 필요하다면, 아래와 같이 PAM 인증 Module 설정을 통해 해당 요건을 설정 할 수 있다. 다만 해당 설정은 SSH 및 PAM Base로 동작 하기 때문에 서버에 SSH 이외에 telnet과 같은 원격제어 ..
Linux Server 를 운용하다보면 각종 보안패치나, Driver Update를 위한 Kernel Upgrade 등으로 인해 System Library 나 연관 패키지등이 교체 될 때가 있다. 이때 문제되는 것이 Dependuncy 즉 시스템 의존성이다. Linux OS에서 실행되는 여러 Process들은 OS에서 제공되는 System Library 나 각종 패키지에서 제공되는 Process등 간에 상호 의존성을 갖게된다. 때문에 관련 패키지의 교체로 인해 의도치 않은 Process 오류를 만날 수 있다. 물론 Yum Repository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RPM Package는 Update나 Install 시 자동으로 연관 의존성 패키지를 검색하여 함께 처리해 주기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특정 Ve..
Linux OS 이하 HW Device Driver들은 아래와 같이 /lib/modules 이하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Kernel Package에 함께 내장 배포되는 Driver들은 /lib/modules/2.6.18-410.el5/kernel 영역에 그 외에 별도 Package로 설치되어 관리되는 Driver들은 /lib/modules/2.6.18-410.el5/extra 영역에 보관된다. 때문에 NIC Driver 역시 제공 및 설치된 Package에 따라 상기 영역들에 보관이 되며,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현재 사용중인 Ethernet NIC H/W 모델의 확인과 함께 해당 NIC의 Driver 종류 및 Version 등을 확인 후 어떤 Package를 설치하면 해당 Driver를 Updat..
Linux에서 제공되는 기본 명령어나 개별적으로 작성한 Shell Script등을 수행하면서, 해당 수행작업이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혹은 수행 시간은 얼마나 걸리는지 궁금할 경우가 있다. time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확인 할 수 있지만 소요되는 System CPU나 Memory 사용량, 해당 Process의 처리를 위한 CPU Context Switch 이 궁금하다면 아래와 같이 time 명령에 포함된 -v 옵션을 활용해 보자. 1. time 명령을 통해 URL의 Webserver 상태를 Check 하는 Shell Script가 수행될때 소요되는 Resouce와 소요 시간 확인하기 [root@TEST01 shell]# [root@TEST01 shell]# cat lis..
RHEL 5, 6.x 계열 Linux 및 Emulex사 NIC 환경에서 Network 지연등의 증상과 함께 ethtool 혹은 netstat 명령등으로 수신 Packet의 Drop 내역 수반된다면 아래와 같은 조치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우선 결론부터 말하자면 Emulex사 NIC를 사용하는 RHEL 5, 6.x 계열 Linux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NIC Parameter 중 TCP 패킷의 최대 분할 전송단위(Jumbo frame)인 MTU 기본값은 1500으로 정의되어 있으나 이를 iSCSI 등의 TCP/IP 기반 IP-SAN등의 성능개선을 위해 MTU 9000 등으로 조정했을 경우, 수신되는 Packet의 사이즈에 비해 허용가능한 Flagment Size 가 작기 때문에 RX Packet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