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blog.helperchoi.com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blog.helperchoi.com

검색하기 폼
  • 블로그 전체보기 (179)
    • System Story (144)
      • CentOS 5,6 (104)
      • CentOS 7 (14)
      • Ubuntu (4)
      • Suse Linux (0)
      • Windows (5)
      • Database (7)
      • Ansible (0)
      • Python3 (3)
      • Perl (0)
      • Go Language (0)
      • Project (1)
      • ETC (1)
      • Youtube - Tip4Linux (5)
    • Cloud Story (10)
      • Cloud Stack (6)
      • Open Stack (1)
      • Vmware vSphere (0)
      • KVM (0)
      • Xen Server (1)
      • Type2 Hypervisor (2)
    • Life Story (25)
      • 소소한 이야기 (8)
      • 담는 법 (3)
      • Review (8)
      • 꽁치네집 (5)
      • 6x6 (1)
  • 방명록

전체 글 (179)
FC SAN Port 확인

Linux System 이하에 설치된 HBA Card 에 대한 정보는 기본적으로 systool 명령과 lspic 정보등을 조합하여 확인 가능하다. 1. 현재 PCI Slot에 장착된 HBA Card(FC-Card) 확인 [root@TestDB01 ~]# [root@TestDB01 ~]# lspci | grep -i "fibre channel" 05:00.0 Fibre Channel: Emulex Corporation Zephyr-X LightPulse Fibre Channel Host Adapter (rev 02) 05:00.1 Fibre Channel: Emulex Corporation Zephyr-X LightPulse Fibre Channel Host Adapter (rev 02) 08:00.0 F..

System Story/CentOS 5,6 2013. 11. 10. 18:36
/etc/sudoers 를 이용한 특정 명령 사용권한 부여

Linux 에서는 신뢰 할 수 있는 일반 사용자 (관리자 그룹등)에게 sudo 설정 및 명령을 통해 허용된 시스템 관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일반 사용자 계정이라 할지라도 아래와 같은 설정을 통해 System Well known Port 등을 사용하거나 root 권한이 필요한 명령등을 수행 가능하다. 1. test 라는 일반사용자 계정에 mysql 스위칭 권한을 부여후 /etc/init.d/mysqld 명령에 대한 권한 부여 [root@TEST01 ~]# [root@TEST01 ~]# vi /etc/sudoers . . 생략 . . root ALL=(ALL) ALL mysql ALL=NOPASSWD:/etc/init.d/mysqld test ALL=NOPASSWD:/bin/su mysql . . ..

System Story/CentOS 5,6 2013. 11. 10. 18:35
/etc/fstab 이하 root 영역 주석처리등으로 booting시 read only 로 빠질경우

linux rescue 모드로 부팅후 아래 실행 (※ root영역이 LVM 영역일 경우) lvm vgchange -ay mkdir /mnt/sysimage2 mount /dev/mapper/VolGroup00-LogVol00 /mnt/sysimage2 cd /mnt/sysimage2 이후 원하는 복구 작업수행

System Story/CentOS 5,6 2013. 11. 10. 18:34
echo 시 TAB 열구분 넣기

-e 옵션으로 \ 해석을 가능토록 활성화후 t 옵션 반영 [root@TEST01 ~]# [root@TEST01 ~]# [root@TEST01 ~]# echo -e "111\t222" 111 222 [root@TEST01 ~]# [root@TEST01 ~]#

System Story/CentOS 5,6 2013. 11. 10. 18:33
Device UUID 확인, 생성, 변경

[root@TEST01 ~]# [root@TEST01 ~]# blkid /dev/mapper/VolGroup00-LogVol01: TYPE="swap" /dev/mapper/VolGroup00-LogVol00: UUID="cbd273f0-e6bf-495b-a49d-1c705502455a" TYPE="ext3" /dev/sda1: LABEL="/boot" UUID="0b1b01d4-1ef6-403d-9df7-818b47e59239" TYPE="ext3" /dev/hdc: LABEL="CentOS_5.8_Final" TYPE="iso9660" /dev/VolGroup00/LogVol00: UUID="cbd273f0-e6bf-495b-a49d-1c705502455a" TYPE="ext3" /dev/VolGro..

System Story/CentOS 5,6 2013. 11. 10. 18:31
dd 를 이용한 간단한 파일 생성

ex) 10G 파일생성 dd if=/dev/zero of=/APP/test_image.iso bs=1000M count=10

System Story/CentOS 5,6 2013. 11. 10. 18:30
이전 1 ··· 26 27 28 29 30 다음
이전 다음
반응형
공지사항
  • ::::::: 이 블로그는? :::::::
최근에 올라온 글
  • Shell - 변수 타입 확인하기
  • Linux OS에서 CPU Architecture⋯
  • PS4 Remote Play 테스트 영상
  • 파일을 지울 수 없어?! Argument list⋯
최근에 달린 댓글
  • 안녕하세요 혹시 해당 내용처럼 vi /etc/modpr⋯
  • 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덕분에 유용하게 잘썼습니다.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분좋네요!
Total
298,037
Today
28
Yesterday
114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