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blog.helperchoi.com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blog.helperchoi.com

검색하기 폼
  • 블로그 전체보기 (179)
    • System Story (144)
      • CentOS 5,6 (104)
      • CentOS 7 (14)
      • Ubuntu (4)
      • Suse Linux (0)
      • Windows (5)
      • Database (7)
      • Ansible (0)
      • Python3 (3)
      • Perl (0)
      • Go Language (0)
      • Project (1)
      • ETC (1)
      • Youtube - Tip4Linux (5)
    • Cloud Story (10)
      • Cloud Stack (6)
      • Open Stack (1)
      • Vmware vSphere (0)
      • KVM (0)
      • Xen Server (1)
      • Type2 Hypervisor (2)
    • Life Story (25)
      • 소소한 이야기 (8)
      • 담는 법 (3)
      • Review (8)
      • 꽁치네집 (5)
      • 6x6 (1)
  • 방명록

System Story (144)
성능분석을 위한 실시간 Disk Device 별 유입 I/O 확인 및 I/O Response 시간 산출

DW 성향의 대용량 분석DB 시스템을 운용하다 보면, CPU나 Memory 등의 시스템 리소스 상태는 충분하나 DB 응답지연등의 현상이 있을 때가 있다. 시스템 담당자로서 각 리소스별 사용추이나 IDLE상태를 체크하면서 Storage 레벨 또는 특정 Disk Device 에 대한 I/O 상태를 확인해야 할 경우 아래와 같이 sar 명령을 통해 각 Device 별 실시간 유입 I/O 와 응답시간(await)을 확인 할 수 있다. [root@TestDB01 ~]# [root@TestDB01 ~]# sar -d 1 | grep "Average" | sort -nrk8 | head -3 Average: dev66-1696 1.00 512.00 0.00 512.00 0.05 52.00 52.00 5.20 Aver..

System Story/CentOS 5,6 2014. 2. 6. 11:45
Linux Whatis DB를 통한 검색

Linux 시스템에는 Whatis라는 File 기반의 Meta Data DB가 존재 한다. Whatis DB를 통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색작업이 가능하다. 1. Linux System Whatis DB에 완성 단어를 통해 관련 명령이나 유틸, 데몬등을 질의 검색 (완성단어 검색) [root@s-node01 ~]# whatis whatis whatis (1) - search the whatis database for complete words [root@s-node01 ~]# [root@s-node01 ~]# whatis scsi scsi-target-utils (rpm) - The SCSI target daemon and utility programs [root@s-node01 ~]# 2. Linux Sy..

System Story/CentOS 5,6 2014. 2. 4. 19:51
Linux SWAP 생성 메커니즘 및 Shell Script를 통한 Thread 단위 SWAP 메모리 사용 현황 확인

최초작성 : 2014/02/03 개정 : 2014/02/18 작성자 : 최광민 (helperchoi@gmail.com) 가. Linux 시스템의 Cache 메모리와 Swap 생성 메커니즘 1. Linux System 은 기본적으로 효율적인 I/O 처리를 위하여 여유 메모리에 대하여 Kernel 에서 Cache memory를 확보하려 노력하며, Cache 메모리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음 1) Buffer Cache 와 Swap Cache OS 이하 생성된 Process는 들어온 요청에 대한 처리를 위해 Page cache set을 생성함. 이를 Process Working Set 이라 부르며 Working set은 Physical Memory 영역에 상주할때 가장 빠른 처리 속도를 확보하게 된다. Wo..

System Story/CentOS 5,6 2014. 2. 3. 15:16
Ethernet 교체후 eth Device Name 인식 실패시 조치

Ethernet Card 교체후 OS 부팅시 기존 /etc/sysconfig/network-scripts 이하에 ifcfg 상 정의 되어있는 HWADDR 가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이 ifconfig 시 Device name 이 상이하게 표기 될 경우가 있다. [root@Server02 network-scripts]# ifconfig -a | more __tmp134357958 Link encap:Ethernet HWaddr 80:C1:6E:AA:13:80 BROADCAST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

System Story/CentOS 5,6 2014. 1. 19. 03:13
Redhat Linux rhn 인증 실패로 인한 yum 사용 불가시 조치

Redhat Enterprise Linux 는 상용 리눅스로 유지보수에 대한 Subscription을 구매후 Redhat RHN을 통해 Subscription 활성화 후 아래와 같이 OS상에서 rhn_register 과정을 통해 yum 유지보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root@REL-Server01 ~]# [root@REL-Server01 ~]# [root@REL-Server01 ~]# rhn_register [root@REL-Server01 ~]# [root@REL-Server01 ~]# 하지만 RHN ID와 Subscription 에 이상이 없음에도 아래와 같은 에러와 함께 yum service를 제공 받을 수 없을 때가 있다. [root@REL-Server01 ~]# [root@REL-Serve..

System Story/CentOS 5,6 2014. 1. 17. 19:53
Linux CPU Detail 정보 확인

1. Linux CPU 가상 core를 (Intel Hyperthread) 포함한 전체 Core 수 확인 [root@marine1 ~]# [root@marine1 ~]# cat /proc/cpuinfo | grep process | wc -l 128 [root@marine1 ~]# dmidecode -t processor | grep "Thread Count"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Thread Count: 16 [root@marine1 ~]# 2. CPU 이하 실제 물리적인 Core 수 확인 [root@marine1..

System Story/CentOS 5,6 2014. 1. 17. 14:10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4 다음
이전 다음
반응형
공지사항
  • ::::::: 이 블로그는? :::::::
최근에 올라온 글
  • Shell - 변수 타입 확인하기
  • Linux OS에서 CPU Architecture⋯
  • PS4 Remote Play 테스트 영상
  • 파일을 지울 수 없어?! Argument list⋯
최근에 달린 댓글
  • 안녕하세요 혹시 해당 내용처럼 vi /etc/modpr⋯
  • 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덕분에 유용하게 잘썼습니다.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분좋네요!
Total
294,577
Today
36
Yesterday
117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