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blog.helperchoi.com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blog.helperchoi.com

검색하기 폼
  • 블로그 전체보기 (179)
    • System Story (144)
      • CentOS 5,6 (104)
      • CentOS 7 (14)
      • Ubuntu (4)
      • Suse Linux (0)
      • Windows (5)
      • Database (7)
      • Ansible (0)
      • Python3 (3)
      • Perl (0)
      • Go Language (0)
      • Project (1)
      • ETC (1)
      • Youtube - Tip4Linux (5)
    • Cloud Story (10)
      • Cloud Stack (6)
      • Open Stack (1)
      • Vmware vSphere (0)
      • KVM (0)
      • Xen Server (1)
      • Type2 Hypervisor (2)
    • Life Story (25)
      • 소소한 이야기 (8)
      • 담는 법 (3)
      • Review (8)
      • 꽁치네집 (5)
      • 6x6 (1)
  • 방명록

systemctl (2)
CentOS7 Systemd의 이해와 활용

이번 게시물에서는 Centos7 / RHEL7 에 본격 적용이 된 Systemd 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양한 활용 예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Systemd는 Centos6 버전까지 기반이였던 SystemV init을 대체하는 System 통합제어 프로세스로서 PID 1로 기동된다. SystemV Init 의 역활은 전통적 Unix 와 같이 Kernel Level에서 작동하는 시스템 최상위 초기자로서 하위에 생성되는 모든 Process들 통제하고 관리한다. 하지만 Systemd는 단순 시스템 초기자의 역활만이 아닌 시스템의 통합 로그 관리자는 물론 서비스, HW, Timezone 등 다양한 시스템 영역을 관여하고 있다. Systemd 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Sysemd 개발 Site을 참고하..

System Story/CentOS 7 2016. 2. 13. 18:40
CentOS7 서비스활성화 하기

CentOS7(Redhat 7) 버전에서 변경된 가장 큰 변경사항이 있다면, 역시 systemd 가 메인 서비스 관리자로 등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CentOS6 버전까지는 SysV Service에 의해 chkconfig 명령을 통해 서비스들의 Level 별 활성 여부를 결정하고 service 명령을 통한 서비스 데몬의 기동중지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CentOS7 버전부터는 아직 systemd 로 수용/변경되지 않은 일부 서비스 데몬들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 데몬들이 systemd를 통해 관리되도록 변경되었다. 다음은 multi-user mode CLI Console상 마우스 포인터를 지원하는 gpm 데몬을 예시로 확인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1. gpm 데몬의 서비스명 및 기동여부 확인하기 [root@l..

System Story/CentOS 7 2015. 1. 2. 11:08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반응형
공지사항
  • ::::::: 이 블로그는? :⋯
최근에 올라온 글
  • Shell - 변수 타입 확인하기
  • Linux OS에서 CPU Archite⋯
  • PS4 Remote Play 테스트 영상
  • 파일을 지울 수 없어?! Ar⋯
최근에 달린 댓글
  • 단순히 googling만 해봐도 EX⋯
  • 죄송한데 덤프 같은건 없는⋯
  • 안녕하세요 회사업무로 인해⋯
  • 안녕하세요! 레드햇 오픈스택⋯
Total
231,656
Today
52
Yesterday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